1. 차가버섯
많은 분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차가버섯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신이 주신 선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동안 차가버섯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민간요법이나 속설이 아닌 과학적인 근거를 찾기 위하여 노력하였습니다. 아래 정보는 모두 인터넷이나 논문, 특허 등에 공개된 자료이기 때문에 제가 찾고 공부한 것을 요약하여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의 시간을 아끼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답변의 제목은 해당 논문이나 특허의 제목입니다.
2. 차가버섯에 대한 Q&A
Q. 차가버섯의 효능
차가버섯 효능에 대해서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아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사이트에서 찾은 차가버섯의 효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문이나 추가 정보는 를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영어이지만 브라우저의 번역 기능을 통해서 어려움 없이 한글로 읽을 수 있습니다. 뚜렷한 부작용 없이 아래의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A.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서 찾은 효능
요소 | 생물학적 활동 |
다당류 (베타글루칸) |
항암제,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항산화제, 면역조절제, 혈당강하제, 지질저하제, 간보호제 등 |
폴리페놀 | 항산화제 |
트리테르페노이드 | 항암, 항염, 항바이러스, 항산화 |
멜라닌 | 항산화제,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지질저하제 및 면역조절제 |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https://www.ncbi.nlm.nih.gov/
16세기 초에 Inonotus obliquus는 러시아, 시베리아 및 일부 서양 국가에서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북반구 지역의 한랭한 외주 지역에 사는 자작나무의 살아있는 줄기에 주로 기생하는 균류의 일종이다. 숯불에 탄 숯과 같은 불규칙한 형태의 무균 콘크 때문에 차가 버섯이라고도 불립니다[. 멜라닌이 풍부하여 공막과 균사체가 대부분 검은색을 띤다. 대부분이 고위도에서 자라기 때문에 환경 온도가 극도로 낮아 곰팡이가 매우 느리게 자랍니다. 따라서 지난 20년 동안 주요 활성 성분과 약리학적 연구가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다당류, 트리테르페노이드, 폴리페놀, 멜라닌 등의 다양한 화학성분으로 인해 장기간의 임상 및 동물 실험을 통해 뚜렷한 부작용 없이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산화, 혈당강하, 지질강하 작용이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점점 더 많은 환자들이 암과 당뇨병에 대한 대체 요법을 찾는 경향이 있어 학계와 사회에서 천연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IOPS는 면역 강화, 항종양, 항산화, 항피로, 저혈당, 고지혈증 활성에 있어 엄청난 잠재력을 보여 암과 당뇨병 치료의 대안을 제공합니다. Inonotus obliquus 의 현재 검토다당류는 주로 분리, 정제, 물리화학적 특성화 및 생물활성 분야의 최근 발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새로운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IOPS 수율을 대폭 높일 수 있습니다. IOPS는 간암 세포, 인간 비소세포 폐암 세포, 난소암 세포,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암 세포에 대해 상당한 저혈당, 고지혈증, 항산화 및 항피로 활성과 세포독성을 나타냈습니다. 독성이 있고 명백한 부작용이 없어 더욱 매력적입니다.
A. 차가버섯 추출물의 저장조건에 따른 기능성분 변화 및 품질안정성, 2021
차가버섯은 다른 버섯과 다르게 기생 균주의 형태로 자작나 무 몸통에 침투하여 자라고, 나무의 영양분을 축적하며 껍질 을 뚫고 점점 외부로 돌출되어 단단한 덩어리 형태로 나무의 표면에 생장하는 특성을 지닌 버섯이다(Kahlos, 1994). 차가 버섯은 16세기 이후 민간에서 암, 위염, 궤양, 결핵 치료 등에 활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가버섯의 효능에 관한 연구 로는 항결핵 활성(Song 등, 2011), 비장세포 증식능과 cytokine생성능에 미치는 영향(Kim 등, 2010), 항산화 및 항암효과(Qi 등, 2013), 면역조절에 미치는 영향(An 등, 2010), 체중증가 억제 및 지방대사 개선작용(Kim 등, 2016)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면역활성 다당을 포함한 생리활성물질의 추출조건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Kim 등, 2015). 차가버섯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 중 많은 양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었다(Cui 등, 2005). 차가버섯에는 다양한 식이섬유들이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주목받는 소재는 β-glucan이다. β- Glucan은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을 회복시킴으로 세포면역을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암에 항암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Tabata 등, 1981; Yamamoto 등, 1981). 차가버섯에 함유된 베툴린(betulin)은 therapeutic agent로 유효한 베툴린산(betulinic acid), 베툴론산(betulonic acid) 또는 이들 유도체(their derivatives)의 유기합성(organic synthesis)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starting material)로 많이 사 용되고 있는 과학적 사실이 많이 발표되어 왔다. 다수 논문들 을 통해서 베툴린산은 melanoma(예를 들어 MEL-2, MEL-2 과 MEL-4)에 antitumor activity를 갖고 있다는 과학적 발견 (Pisha 등, 1995)과, 베툴린산이 H9 lymphocytic 세포에서 anti-HIV activity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 다(Fujioka 등, 1994). 또한 Gong 등(2004)은 베툴린을 acyclovir와 혼합 사용한 결과, herpes simplex viruses 등에 antiviral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차가버섯은 단단한 조직으로 인해 버섯 자체로 식용이 불 가능하기 때문에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차가버섯 물 추출물의 추출온도에 따른 효능 비교 연구2, 2007
따라서, 차가버섯은 혈액 중의 혈소판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뇌졸증, 동맥경화, 혈전정맥염 등의 혈전질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가버섯 전탕액과 50도 저온 침출액 모두 간암세포 및 위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간암세포에 대하여는 전탕액에 50도 저온 침출액보다, total extract가 n-BuOH 분획물보다 높은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위암세포에서는 추출온도나 분획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차가버섯 전탕액과 차가버섯 50도 저온 침출액은 모두 유의한 항산화효과, 소염효과 및 항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차가버섯을 복용할 경우 고온으로 전탕하거나 50도에서 우려서 복용하는 방법 모두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Q. 차가버섯의 성분
A.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 2009
단백질, 지질, 회분, 식물섬유, 당질, 비타민류, 미네랄류, 기타 flavonoid, steroid, polyphenol, terpenoid, inositol, inotodiol 등의 스테롤류, butulin, melanin 등이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 특히 β-glucan은 면역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버섯에 비하여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차가버섯 추출물에는 다양한 크기의 β-glucan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들 β-glucan은 전체적으로 보아 추출물의 40~50%에 달하는데, 이는 차가버섯을 분쇄하지 않고 전탕한 경우의 20% 이상에 해당한다. 이는 일본에서도 이미 보고한 내용으로 차가버섯의 β-glucan 함량은 상황버섯 또는 아가리쿠스 버섯에 비하여 4~12배 높으며, 항산화 활성인 SOD 활성은 320배에 달한다고 한다.
Q. 저장 방법
A. 차가버섯 추출물의 저장조건에 따른 기능성분 변화 및 품질안정성, 2021
본 연구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저장안정성을 확인하고자 여러 저장온도(-20, 25, 35, 45℃)에서 8주 동안 보관하면서 이화학적 성분 및 품질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정제수와 50% 주정으로 추출한 후 95℃, 10분간 살균한 추출물의 pH는 저장 기간 중 pH 5.33에서 pH 5.38-5.45 수준으로 다소 증가되었고(p<0.05),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온도와 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추출물의 색도(L, a, b)는 직사광선 조건에서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26 mg/mL)은 저장온도에 따라 다소 증감하였으나, 저장 8주 동안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DPPH 실험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70% 이상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ABTS를 이용한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저장 8주 후 저장온도 25, 35, 45℃에서 항산화력이 각각 6.4, 7.1, 7.9% 감소하여 저장온도에 따른 항산화활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p<0.05). 추출물의 β-glucan 함량은 초기 2.58% 수준으로 저장온도 -20℃와 25℃에서는 안정하였으나, 35℃와 45℃의 높은 온도에서는 저장 6주차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베툴린 함량(12 μg/mL) 역시 -20℃와 25℃ 저장온도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은 여러 온도에서 8주 동안 저장하였으나, 총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적으로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은 살균처리를 통해 미생물적 품질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20℃와 25℃에서는 8주 동안 이화학적 및 기능성 성분이 안정하였다. 하지만 35℃ 이상의 고온에서는 베툴린 함량, β-glucan 함량, 항산화성의 순으로 저장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Q. 베타글루칸?
A. 수용성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KR100666055B1, 2005
베타글루칸은 결합구조에 따라 수용성과 수불용성으로 구분된다. 베타(1-3)이나, 베타(1-4)의 단일구조일 경우 불용성이나 베타(1-3)결합에 베타(1-6)결합이 혼합되어 있는 것은 수용성을 띠며, 121℃, 30분의 가열조건에서도 안정하다. 또한 생체 내에서의 흡수도가 달라서 면역관련 효과는 수용성 베타글루칸이 불용성 베타글루칸보다 월등하게 우수하다. 그중에서도 버섯류에서 생산되는 수용성 베타글루칸은 면역증강효과가 항종양활성, 항세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Seljelid, et al: Association of macrophage Activation with Anti-tumor Activity by Synthetic and Biologic Agents. Cancer Res; 1989, 37:3338-3343) 혈당강하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의약품,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및 사료첨가제 등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A. 항암 효과 탁월 베타 글루칸 중앙일보 2007.3.29
베타 글루칸이 주성분인 '버섯 항암제'는 암세포를 직접 죽이지는 않는다. 암환자의 면역력을 높여 암세포의 활동을 억제한다. 자연살해(NK)세포.T세포 등 면역기능과 관련된 세포의 수와 활성을 높여주는 일종의 면역요법제다. 게다가 베타 글루칸은 천연식품의 성분이어서 부작용이 거의 없다. 기존의 항암제처럼 정상세포까지 무차별 공격하지도 않는다.
Q.폴리페놀이란?
A. 엠디저널(http://www.mdjournal.kr) 폴리페놀의 종류와 효능
폴리페놀이란 녹색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할 때 생성된 당분의 일부가 변화한 2차 대사 산물로 식물계에 8,000여 개의 구조를 가진 성분으로 존재하며 페놀 복합체를 일컫기도 한다. 사탕수수, 기장, 보리, 건콩, 땅콩, 과일, 채소, 차 류에 풍부하며 대체로 색이 짙고 쓴맛과 떫은맛을 지니고 있다.이러한 폴리페놀은 Flavonoid와 Non-flavonoid 두 종류로 구성되는데, Flavonoid란 활성산소로부터 식물의 세포를 보호하는 물질의 총칭이다. Flavonoid와 Non-flavonoid 모두 항산화 작용을 하며 약 300여 종이 있다. 그 중 널리 그 기능이 알려져 있는 폴리페놀의 종류와 함유식품은 아래와 같다. ▲ 안토시아닌 - 간 기능과 기억력 향상을 돕고, 특히 심장병 예방에 좋은 적포도주, 가지, 블루베리 등에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 이소플라본 - 여성 호르몬의 밸런스를 조절하며, 대두와 대두 제품에 풍부하다. ▲ 카카드마스 폴리페놀 - 피로 회복,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고, 코코아, 초콜릿에 풍부하다. ▲ 루틴 - 모세혈관을 강화하고 혈압을 낮추며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메밀국수와 옥수수에 풍부하다.▲ 카테킨 - 살균 효과와 비만 예방에 효과적이며, 녹차 등 차류에 풍부하다. ▲ 케르세틴 - 관상동맥 경화예방 효과가 뛰어나며, 양파와 사과껍질에 풍부하다.
폴리페놀은 단일 성분을 칭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 내에 존재하는 여러 페놀 화합물의 총칭이며, 한 가지의 식물에 여러 종류의 폴리페놀이 함유돼 체내에서 작용하므로 기능에 대해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어떠한 폴리페놀이든 섭취시 공통으로 나타나는 기능이 있는데 바로 항산화와 항암 효과이다.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 강한 항산화제로 작용해 세포 DNA와 세포막의 산화를 억제, 보호하고 체내 LDL의 산화 억제로 혈관계를 보호한다. 또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발암물질을 불활성화시키고 세포의 변이를 방지해 암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Q.비만에 효과 있나?
A.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체중 증가 억제 및 지방대사 개선 작용, 2016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의 체중 증가 억제 및 지방대사 개선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체중, 조직 무게,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 들의 발현 및 대사 관련 지표 단백질들의 변화를 조사하였 다.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증가와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 증가가 억 제되었으며, 특히 adiponectin 합성이 촉진됨으로써 간 조직 에서의 AMPK 활성화가 향상되는 작용이 확인되었다. 차가 버섯 추출물 투여에 의한 부고환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축 적 억제효과는 지방산 흡수 및 중성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작용에 기인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의 지방산 산화가 촉진 되는 지방대사 개선 효과와 함께 만성 염증에 대한 개선 효과가 나타남으로써 지방간 질환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 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지방 축적 및 체중 증가 억제 작용은 물론 간에서의 지방대사 및 만성 염증 개선 작용을 통하여 차가버섯 추출물은 효과적인 항대사질환 기능성 소재로서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미 밝혀진 차가버섯 추출물 유래 성분의 혈당강하작용과 동반된다면 체중 증가의 부작용 우려가 없는 항당뇨 활성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도 충분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Q. 추출 방법과 온도
A.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2009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10배수의 물을 가하여 90도에서 2시간으로 2회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A.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생리활성물질 최적 추출조건 탐색, 2014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유효성분과 항산 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탐색하였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ORAC), β-1,3-glucan 함량의 총 다섯 가지 반응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 었고, 반응표면그래프와 등고선도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 측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 수율에서 50% (v/v), 88.7o C, 14.5 h,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9.2%, 92.7o C, 14.5 h,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에서 50.8%, 92.7o C, 14.5 h, ORAC에서 9.2%, 92.7o C, 1.5 h, β-1,3-glucan 함량에 서 90.8%, 92.7o C, 1.5 h으로 예측되었다. 각 반응변수의 예측 최대 추출 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실행하여 예측 값과 비교해본 결과 , 상대오차는 0.4-12.5%였다. 각 반응 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 귀식을 얻었으며, 예측 값과 실험 값의 오차가 크지 않아 반응표 면모델이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 다섯 가지 반응 변수를 통합하는 최적 추출조건은 81.4%, 92.7o C, 14.5 h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열수추출물의 형태로 유 통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에탄올 용매를 포 함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추출 수율과 생리활 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조건을 제시하였다.
A. 차가버섯의 온도 단계별 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비교, 2005
차가버섯 건조분말을 80도에서 8시간 추출한것을 1차 추출물, 1차 추출 후 그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도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2차 추출물, 2차 추출 후 남은 잔사물에서 물을 첨가하여 120도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3차 추출물.
항산화력은 1차 추출물이 가장 낮았고 3차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3차 추출물은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차나 2차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페놀 화합물 함량은 라디칼 소거능 및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효과와 상관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유 라디칼로 인해 야기되는 지방을 비롯한 그 산화물에 대하여 3단계 온도 추출법에 의한 차가버섯 추출물은 매우 유효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 추출조건에 따른 차가버섯 생리활성 및 면역활성 다당, 2012
천연물은 추출조건에 따라 용출되는 성분과 수율이 다르기 때문에 활성에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천연물의 추출조건 확립은 대단히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을 검토함으로써 생리활성에 따른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식품과 화장품 등에 적용되는 소재로서의 적성을 고려하여물은 50oC reflux(IO-HW-50), 90oC 이상의 decoction(IOHW-D) 및 121oC에서의 가압추출(IO-HW-121) 방법을이용하였으며, 에탄올의 경우에는 50, 70 및 90oC에서 reflux로추출(IO-E-50, 70과 90)하여 용매추출물을 조제한 후 항산화, 면역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검토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용매추출물 수율은 물과 에탄올추출물 모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에탄올추출물(1.9~2.7%)보다는 물 추출물(12.7~36.8%)에서 온도증가에 따른수율 증가가 컸으며, 에탄올추출보다 물 추출에서 수율이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또한, 물 추출물의 경우 reflux와 decoction(12.7과 19.9%)보다는 가압추출물(36.8%)의 수율이 크게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차가버섯 물 추출물의 추출온도에 따른 효능 비교 연구2, 2007
차가버섯은 뜨거운 물에 우려먹는 방법으로 일찍부터 이용되어 왔으며, 차가버섯을 비록한 대부분 버섯류의 생리활성 성분중에서 항종양 활성 성분은 물 추출물중에 함유된 다당체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차가버섯의 적절한 효능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수용성 추출물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전탕 추출 차가버섯 100g에 1L의 증류수를 가하고 약탕기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끓인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 20.5g을 얻었다.
저온 침출 차가버섯의 분말 100g에 1L의 증류수를 가하고 진탕 배양기를 이용하여 50도에서 3시간 동안 저온 침출하였다. 진탕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 16g을 얻었다.
A.수용성 베타글루칸의 제조방법, KR100666055B1, 2005
수용성 베타글루칸은 121℃, 30분의 가열조건에서도 안정함
*본 글은 국민들의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차가버섯에 관한 논문 및 특허의 일부를 그대로 인용하고 출처를 밝혔습니다. 문제가 되는 점이 있으면 아래 댓글로 말씀바랍니다.